본문 바로가기

돌보기/아이 돌보기19

초등 저학년 ADHD 약 복용 후기 #4 (18개월차) 그 말이 사실이었나 보다. (발달이 느린)남자 아이들은 10살이 되면 달라진다는 말. 초등학교 3학년. 우리나라 나이로 10살이 되니, 많은 것이 달라졌다. 언뜻 보면, 매일매일 똑같은 일상을 잘 지내고 있다. 자폐스펙트럼의 장점 중 하나가 그 똑같은 일상의 반복을 지겨워하지 않고 오히려 안정감을 느끼며 지내는 것이다. 그런데, 10살이 되고나서,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아닌 것을 구별하여 나에게 딜(deal)을 걸어온다. 오랫동안 해왔던 축구수업을 그만두겠다고 해서, 아쉽지만 그러라고 했다. 본인이 시간 약속을 정하고 나에게도 지킬 것을 요구한다. 여러개 중에서 선택을 하면 나머지는 포기해야 하는 것도 이해하고 더 좋은 선택을 하기 위해 고심한다. 사용하는 어휘의 양도 부쩍 늘었고, 별별 낯간지러운 표현.. 2019. 10. 23.
정재승 교수 부모대상 강연을 듣고 송파구청 교육협력과에서 주최한 학부모 대상 강연에 참석했다. 강연자는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 강연 제목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온라인 = 오프라인 일치하는 시대. 모든 것을 온라인으로 옮겨(복사) 놓고 온라인에서 데이터를 생산, 가공, 생성한다면 초고효율 초저비용. Paradime shift 일어난다면 ㅡ> 혁명 Brain robot Interface ㅡ 서비스업에 적용 ㅡ 무례하게 대하지 않는다. 화내지 않는다. ㅡ 사람들이 보다 속마음을 잘 털어놓는다. BUT 부작용: 새 일자리에 진입가능한 계층과 기존의 일자리가 사라지는 계층은 다르다. Ex. 톨비 받는 일 하지 말고,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되세요..??? ㅡ.ㅡ 아직 혁명은 오지 않았는데, 왜 이리 빨리 호들갑을 .. 2019. 5. 25.
아동학대로 인한 뇌발달 저하 아동학대로 인해 뇌발달, 특히 전두엽의 발달이 저하되거나 결함이 발생한다고 한다. 물리적 폭력 뿐 아니라, 언어 폭력이나 무관심, 방임과 같은 정서학대도 같은 결과를 초래한다. 학대에 대한 글이나 동영상을 보게 되면, 가슴이 아프다. 그리고 너무 불안하다. 공감능력의 부족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사이코패스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차이는 무엇인가? 결국 중요한 것은 양육환경과 가정교육이다. 즉, 부모가 어떤 사람인지가 가장 중요한 것이다. 2019. 5. 3.
초등 저학년 ADHD 약 복용 후기 #3 (12개월차) ADHD 약을 복용하기 시작한지, 벌써 1년. 2학년 겨울 방학, 1달 동안 베트남 다낭, 후에, 호이안에서 살았다. 약을 좀 덜 먹이고 미세먼지도 피하고 따뜻한 나라에서 겨울을 나기 위해서. 결과는 대성공! 다가오는 3학년 겨울 방학에도 한달 동안 말레이시아나 태국에서 보내려고 한다. 겨울 방학 전에 새로운 약 조합으로 처방을 받았다. 분당서울대병원의 검사 결과, 우리 아이는 경증과 중증 사이의 자폐스펙트럼에 속하고, 흔히 아스퍼거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아이라고 확진. ADHD 약을 처방해 주시던 동네 정신의학과의원의 의사는 '자폐로 보이진 않는다'라고 했지만, 자폐가 맞다. 그래서 대학병원 의사가 이 경우 메타데이트 용량을 계속 늘이기보다, '아토목세틴 염산염'을 함께 복용하는 게 좋겠다는 의견을 보내왔.. 2019. 4. 5.
아이들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방법 *사회성: 관계를 잘 맺어가는 능력인간관계를 잘 맺기 위한 과정: 관계개시 -> 유지 -> 갈등 -> 갈등해결 -> 화합과 협동사회성의 요소: (1)타인의 감정 공감. (2)타인의 생각과 입장 이해. (3)적절한 자기 주장. (4)타협과 조율. 사회성을 길러주기 위해 부모가 해주어야 할 것: 1. "너는 정말 귀한 존재란다.", "네가 어떤 상황이건, 네가 어떤 능력을 발휘하든, 나(부모)는 조건없이 너를 사랑해." 라는 말을 자주 해 준다.2. 집 밖에서 사람들과 만나 접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들, 미묘한 감정의 차이를 잘 해석해 주어야 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록 아이가 받아들이기 불편한 표현이라 할 지라도 상대방의 의도가 나쁜 것이 아님을 이해시켜서, 정말 나쁜 상황과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 2019. 3. 27.
4년전 육아일기 백업 4년 전, 잠시 잠깐 '맘스다이어리' 라는 웹사이트에 육아일기를 쓴 적이 있다.100일 동안 끊기지 않고 육아일기를 쓰면, 공짜로 앨범으로 만들어 주는 사이트였는데,정말 성실하게 쓰는 사람이 많은 것 같은데, 나는 열흘도 안되어 포기했다. ㅋㅋㅋ 때는 아이의 자폐를 받아들이기 시작하면서, 맨처음 생의학치료에 빠졌던 시기...ㅎㅎ(아이 이름은 OO처리했음) 네 인생에 등불을 밝혀줄게.2015.01.14 (수)요즘 뒤늦게 모래놀이에 빠진 OO이. "엄마! 난 모래놀이 좋아해요!"모래놀이 하고싶단 얘기를 요렇게 이쁘게 얘기하는 우리 아들. 다른 아이들과 좀 다르지만 꽤 놀라운 창의성을 발휘해서 엄마 아빠를 놀라게 하는 귀염둥이. 네가 자폐성향이 있다는 걸 엄마는 알아차릴 수가 없었어. 다른 아이들보다 말이 늦.. 2018. 11. 26.
발달장애에 대한 부모의 지식, 그리고 사회의 인식 발달장애는 어쩌면 인류의 시작과 함께 시작되었을 거다. 남들보다 느린 아이들... 특이한 행동을 하는 아이들... 말귀를 못 알아듣는, 말이 안 통하는 아이들...그들은 '바보' 또는 '괴짜'라고 불리며 인간 사회의 아웃사이더로 취급당했지만,부유하고 좋은 부모를 만나거나, 좋은 선생님을 만난 경우,그들만의 재능을 발현하고 자기 내면과 가족 울타리 안에서는 반짝반짝 빛나는 인생을 살다 가기도 했다.태어날 때 뇌손상 때문에 장애를 얻기도 하고,알 수 없는 이유로( 유전 또는 자연 돌연변이 ) 남들과 다르게 태어나기도 한다.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이 아이들의 뇌는 좀 다르고, 그래서 생각도 말도 행동도 다르다. 그런데, 발달장애 아이들이 예로부터 적지 않았을 것인데,마을마다 1명 정도는 있었고 8촌까지.. 2018. 11. 26.
자녀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흔한 부모의 반응 자녀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흔한 부모의 반응- 글쓴이(달콤말)의 경험담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음 -@ 8 ~ 10개월: 다른 어른들은 순하다고 하는데, 엄마인 나는 글쎄.. 뭔가 많이 힘들어... @ 11 ~ 13개월: 다른 아이들은 왜이리 발달이 빠른거야? 벌써 걷고, 배변훈련까지 한다고? @ 14 ~ 15개월: 왜 아직 못 걷지? 금방 걸을 것 같은데...@ 16 ~ 17개월: (걷기 맹훈련 후) 아! 드디어 첫걸음을 뗐네. 휴~@ 17 ~ 23개월: 다른 아이들은 말을 잘하네? 넌 왜 단어 첫 음절만 말할까? (ex. '수박'을 보고 '수'라고만 한다.) 자동차 장난감을 뒤집어 놓고 바퀴만 굴리지 말고, '부릉부릉'하며 놀아야지. 엄마아빠한테 공을 던져봐. 아니아니 그리로 .. 2018. 11. 20.
초등 저학년 ADHD 약 복용 후기 #2 (8개월차) 아이는 2학년이 되어 정말 많이 자랐다. 키도 많이 컸지만 (반에서 남학생 중에 제일 크다) 뇌가 많이 자랐다. 나는 이러한 아이의 성장에 ADHD 약 복용도 중요한 몫을 했다고 생각한다. 몸무게는 크게 늘진 않았다. 식욕부진 또한 ADHD 약의 부작용 중 하나이므로 약 덕분이긴 하다.하지만 사람마다 뇌의 구조와 부족한 신경전달물질의 양과 종류가 다 다를 것이다. 그래서 신경전달물질의 양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ADHD 약은 사람마다 적절한 복용량을 찾기가 매우 힘들다. 조금씩 늘려가면서 5달 만에 적정한 복용량을 찾은 듯 했는데, 그게 두어달 지나고 나니 다시 부족한 듯 하다. 아이가 자랄수록 미세하게 복용량을 조절해 주어야 하나보다. 8시간 약효가 지속되는 메타데이트 보다 4시간 더 약.. 2018. 11. 19.
[엄마의 말하기 연습] - 박재연 지음 교육청에서 주최하는 학부모를 위한 강연에서 '박재연' 이라는 작가이자 강사를 만나게 되었다. 긴 머리에 여리여리한 신체를 지닌 세련되고 젊은 커리어우먼 느낌을 풍기는 인상이었다. 그런데 강의를 시작하자 마자, 자신은 고등학생 아들이 있고 싱글맘이란다. "으응? 아 ... !" 하는 작은 탄성이 이곳저곳에서 터져나왔다. 아이가 있다면 유치원이나 초등학생 정도일 것 같고, 고생은 별로 안해본 것 처럼 구김살 없는 첫인상이었는데, 의외라는 반응이다. 그러나 이내 아이와 엄마 사이에 벌어질 수 있는 대화 상황을 능숙하게 '재연' 하는 것을 보며, 그 경력(?)에 의심을 거두게 되었다. 게다가 속사포같은 강연 중에 어린 시절 아버지와 새어머니로부터 받은 상처를 비롯 수많은 사례들을 이야기 해주었는데, 감동적이기도.. 2018. 11. 14.
자폐 vs. 영재 출처: , 잔 시오파생 지음 | 정미애 옮김영재 아동 특성지적 측면: 특유의 독특한 지능 형태. 다른 아이들과 다른 사고방식, 다른 추론구조. 영재아동의 지능은 비정형적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대개 학교와 사회에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정서적 측면: 극도의 감수성을 지닌 존재. 주위환경으로부터 쏟아져 들어오는 모든 정보를 매우 예리하게 인식하고 분석하며, 타인의 감정 상태 또한 대단히 섬세하게 감지한다. 영재는 지적조숙을 의미하지 않는다. 지적으로 조숙하다는 것은 일부 학습 분야에서 다른 아이들보다 앞섬을 의미한다. 영재라는 것은 남다른 지적 작동과 특이한 인성을 지니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재아동은 한 마디로 "이상한 얼룩말"이다. 과도한 감성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모든 것을, 항상,.. 2018. 7. 19.
초등학교 교사들이 아이들의 미래를 추적하여 알 수 있다면 예전에는 졸업생들이 모교를 찾거나 은사를 찾아 방문하는 일이 자주 있었는데, 요즘은 어떤지 모르겠다. 초등학교 교사들은 아이들의 어린 시절만 경험한다. 물론 저학년~고학년으로 변화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볼 수도 있지만, 아이의 미래에 대한 자신의 예측이 얼마나 정확한지 데이터로 확인할 길이 사실상 없다고도 볼 수 있다. 1년 동안 아이들을 한 교실에서 가르치는 건 대단한 인연이다. 아이들의 성격, 태도, 장단점, 교우관계 등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는 기간이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10년 후, 그리고 20년 후에 자신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어떤 아이가 어떤 어른으로 성장했는지 볼 수 있다면, 어떻게 될까? 교육의 본질이 달라질 수 있지 않을까? 모든 선생님들이 아이들 각자의 개성 하나하나를 키워주고 격려해주.. 2018. 7. 18.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ABA 내가 이해한 Applied behavior analysis (ABA, 응용행동분석)는 쉽게 말하면, 즉각적인 보상(칭찬, 강화제)을 통해 아이의 올바른 반응과 행동을 유도해 내는 기법이다.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시도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자폐 아동을 교육할 때 가장 효과가 크다고 알려진 방법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늘 이루어지면 좋다. 따라서 주양육자인 부모가 그 방법을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잘하네!""최고!"하이톤으로 물개 박수를 치며, 아이가 방금 한 작은 성공에 대해 아낌없이 칭찬을 해 준다면, 아이의 표정이 뿌듯함으로 물드는 걸 볼 수 있다. 비자폐 아동의 경우에도 예로부터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며 진심어리고 아낌없는 칭찬을 강조하는 격언들이 많았다. 격려받고 자란 아이는.. 2018. 7. 17.
아이들은 생활에서 배운다(Children Learn What They Live) Children Learn What They LiveBy Dorothy Law Nolte (1924 - 2005) If children live with criticism, they learn to condemn. 꾸지람 받으며 자란 아이들은 비난하는 것을 배우고 If children live with hostility, they learn to fight. 미움 받으며 자란 아이들은 싸움을 배우고 If children live with fear, they learn to be apprehensive. 두려움 속에 자란 아이들은 근심을 배우고If children live with pity, they learn to feel sorry for themselves. 동정 받으며 자란 아이들은 자기 연민을 배.. 2018. 7. 17.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소아청소년 심리검사 내용 및 비용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서의 진료는 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전화, 홈페이지 또는 병원 앱을 통해서 진료예약을 한다. 처음 이용하는 경우 전화를 하는게 가장 좋다. 대학병원은 주로 2,3차 병원이므로, 반드시 1차 의료기관에서 진료의뢰서를 받아서 접수해야 한다. 그래야 의료보험 적용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진료일, 진료 시간보다 30분 정도 일찍 와서 접수 및 대기 하는 것이 좋다. 정신건강의학과의 경우, 첫 진료시, 담당 교수 진료를 받기 전에, 예진을 30~40분 정도 한다. 환자 또는 보호자의 이야기를 걸러서 꼭 필요한 이야기 만을 추려내어 정리함으로써, 본진의 시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본진에서는 예진에서 정리된 내용을 참고하여, 의사가 진단에 필요한 질문들을 하고, 의사의 경험에 .. 2018. 7. 13.
초등 저학년 ADHD약 메타데이트 복용 후기 #1 첫째 아이가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었을 때, 고민이 많았다. 조금이라도 특별하지 않은 아이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엄마인 나는 무엇을 해야 할까? 두 군데 대학병원에서 언어검사를 받게 했고, 언어치료를 꾸준히 받게 했다. 책읽기 수업(사교육)을 꾸준히 했으며 '기적의 유아수학'도 풀게 했다. 그리고 특수교육지원청에 가서 특수교육지원아동으로 '선정'해 달라고 검사를 받았다. 아이는 참 성실하고 꾸준하게 시키는 대로 잘 해줬는데, 결과는 내 바램과는 조금 엇나간 것이었다. 언어검사를 두 번이나 받은 건, 1년 이상 언어발달 지연인 경우 언어장애 판정을 받을 수 있어서였다. 언어장애 판정을 받으면 보험에서 1천만원의 위로금을 받을 수 있다. 그런데, 아이는 그 동안 꾸준히 성장해서 이제 또래아이들과의 편차가 수용.. 2018. 7. 9.
소리치료 - 토마티스 방법 (Tomatis Method), 일스 (iLs, Integrated Listening Systems) 소리 치료에서 신호는 전두엽으로 곧바로 가지 않는다. 감각입력 처리에 관여하는 피질 아래의 여러 피질하 영역으로 간다. 소리 치료는 피질하 영역을 자극함으로써 주의력 문제를 바로잡을 수 있다고 한다. 특히 동작과 결합할 때 효과적이다. 최근 뇌 스캔 연구로 ADHD인 사람은 (생각과 동작의 타이밍을 섬세하게 조율하고 균형에 관여하는) 소뇌의 부피가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 토마티스의 듣기 치료와 일스는 소뇌에 연결된 전정계는 물론 소뇌에도 영향을 준다. 일스가 행하는 균형 훈련을 병행하면 소뇌를 한층 더 자극한다. 소리 치료에는 토마티스, 일스, 그리고 베라르AIT 방법이 있다. 토마티스 (Tomatis) https://www.tomatis.com 일스 (iLs) https://integratedlis.. 2018. 7. 3.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tic Spectrum Disorder) 자폐(自閉) 자신의 세계에 갇혀 지내는 상태라 하여 이름 붙여진 발달장애. 영어로는 Autism. 1912년 스위스의 정신과의사 Paul Bleuler가 처음 학계에 보고하면서 만든 독일어 용어 Autimus에서 유래했다. "Self" 를 나타내는 auto 와 "action or state" 를 나타내는 접두어 -ismos 의 합성어로 "morbid self-absortion" 즉 "병적인 자기 몰두"란 뜻을 가진다. 개인적으로 autism을 자폐라고 번역한 게 맘에 안든다. '닫을 폐(閉)'는 외부와의 완전한 단절을 의미한다. 하지만, autism은 완전히 단절된 게 아니다. 그 아이들은 상호작용의 방법을 잘 모르고 자신들의 민감한 감각을 처리하느라 겨를이 없어서 그렇지, 외부 세계를 부정하거나 숨지 .. 2018. 7. 1.
뇌발달, 뇌과학, 우뇌/좌뇌, 공부 잘하는 아이, ADHD, 뇌에 대한 오해와 진실 초등학교 '학부모 연수'에 참여했다. 신성욱 과학저널리스트의 "뇌과학이 알려준 새로운 생각" 이란 주제로 강연을 들었다. '뇌'에 대한 것은 엄마들에겐 초유의 관심사인데다, 유명한 분이시라, 많은 엄마들이 참석했다. 시중에는 '뇌'를 수단으로 하는 사기꾼들이 많다 (주로 유아 사교육 쪽) . 그건 엄마들도 대충 안다. 그렇다면 최대한 진실에 가까운 뇌 이야기는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Jay Giedd 박사를 검색해서 그 사람이 하는 말을 들어보고, 논문을 읽어볼 것을 추천해주셨다. 그리고 Jay Giedd 박사가 알려주는 '뇌가 잘 발달한 똑똑한 아이로 키우는 방법'도 알려주셨다. "누군가의 품에 안겨 이야기 들었던 건 언제 였던가 ... " 사람은 사회적 동물(Social Animal)이며, 사회적.. 2018. 6.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