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즐기기/책

[다크호스] Dark Horse, 성공의 표준 공식을 깨는 비범한 승자들의 원칙, 토드 로즈 / 오기 오가스

by 달콤말 2019. 12. 25.
반응형

표준화 시대의 성공 공식은 버려라. 

개인화 시대가 도래했다. 

다크호스들의 공통점 -   충족감(fulfillment) 을 느끼며 산다. 

충족감을 주는 환경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사람마다 저마다의 관심사와 욕구, 희망이 다르기 때문이다. 

다크호스들은 어떤 일에서 우수해짐으로써 충족감을 느낀 것이 아니라, 자신만의 일에 깊이 몰입하면서 충족감을 느꼈다.

충족감의 추구는 최고의 인생을 살아갈 기회를 극대화한다. 

 미시적 동기 깨닫기 (Know your micro-motives) 

미시적 동기는 무의식 속 자아에 뿌리박힌 강하고 지속적인 감정들의 집합이다. 

당신이 어떤 상황에서 정확히 어떤 점을 좋아하거나 싫어하는지 주의 깊게 살펴보라. 당신의 작은 반응 하나하나가 아주 다양한 미시적 동기를 내비치는 것이다. 

감정 반응을 잘 의식할 줄 알게 되며느 삶 전반이 자기 이해(self-understanding)의 실험장이 될 수도 있다.

미시적 동기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지극히 상반되는 열망들조차 하나의 목표의식으로 통합되어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  

 자신의 선택 분간하기 (Know your choices) 

적합성(fit)은 자신의 개개인성과 환경을 조화시키는 것이다.

선택의 진가는, 자신만의 미시적 동기들을 최대한 많이 활성화할 기회들을 찾아내 선택할 때 발휘된다. 

선택의 힘은 목표 설계 때 발휘되며, 따라서 충족감을 이루기 위한 힘이기도 하다. 

자신의 개개인성에 맞는 선택들을 자유롭게 찾을 수 있으면, 아무도 주목하지조차 못한 기회를 발견할 수도 있다. 

어디가 잘 맞는지 확실히 알기 위해서는 스스로 적극적인 선택을 내리는 방법밖에 없다. 자신에게 잘 맞는 것이 뭔지 남들이 알려주길 기대한다면, 맹목적으로 표준화 계약의 일직선의 길을 따라간다면 결국엔 잘못된 목적지에 도달하고 말 위험이 있다. 

비판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성찰함으로서 미시적 동기를 알아내야 한다. 

미시적 동기를 점점 알아가다보면 적합성의 판단력은 높아지고 운에 대한 의존도는 낮아진다. 스스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감 있게 행동하면서 운명에 대한 통제력이 생겨난다. 

일단 자신의 진정한 미시적 동기들을 바탕으로 선택을 내리면 거의 예외 없이 좋은 선택으로 귀결된다. 

자신의 개개인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수록 자신에게 점점 더 적합한 선택을 내리게 되고, 삶의 충족감은 점점 커지며, 우수성은 꾸준히 향상되기 마련이다. 그러다 보면 잇단 승리를 이어가며 행복한 순간을 맞게 된다. 역설적이게도 바로 이때가 자신의 선택 분간하기가 어려워지는 순간이다. 잃기 아까운 중요한 뭔가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래도 속아 넘어가면 안된다. 쭉 해온 방식대로 기회를 평가하고 적합성이 가장 잘 맞는 선택을 해야 한다. 

적합성에서 작아보이는 차이가 충족감과 우수성에서 아주 큰 차이를 낳을 수도 있다. 

충족감은 언제나 성장과 발전, 자기계발이 함께 동반되어야 촉진되는 역동적인 경험이다. 발전하려는 노력을 그만두는 순간 충족감은 꽃을 피우기도 전에 시들어간다. 구불구불 굽은 경로에는 종착지가 없다. 진정성의 느낌을 키워줄 기회를 스스로 차단하는 순간, 안락함을 잃는 것보다 더 심각한 손실의 위험에 놓인다. 목표의식을 잃을 위험이 있다. 

 자신의 전략 알기 (Know your strategies) 

전략은 더 발전할 방법을 의미한다.

모든 전략에는 시간에 따른 실력 향상이 고려된다. 

자신에게 잘 맞는 전략을 찾아내는 것이 곧 우수성을 획득하는 열쇠다.

자신의 장점을 적절한 공부법과 훈련법, 학습체계의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표준화 계약에서 정해 놓은 '단 하나의 최상의 방법 (The one best way)'으로 잘 해내지 못한다는 이유만으로 당신에게 재능이 없다고 볼 수는 없다.  

장점을 강화하는 전략을 써라.

장점을 알아보려면 성찰이 아니라, 행동이 필요하다.

장점은 맥락적이며, 개인적 기질은 상황에 따라 재능이 되기도 하고 불리한 조건이 되기도 한다. 

장점은 변동성이 워낙 커서, 연습하면 더 좋아지고 방치하면 더 퇴보된다.

전략을 선택하는 목적은 기존의 기량이나 지식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즉 장점을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표준화형 사고방식에서는 전략의 선택이 끝까지 버티기 문제지만, 다크호스형 사고방식에서는 시행착오의 문제로 바라본다. 

자신의 전략을 알아가는 과정은 처절한 실패를 기꺼이 감수해야 한다. 실패는 우수성을 키우는 과정에서 필수요소다. 
실패는 불분명한 장점의 숨겨진 윤곽선을 발견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시도하는 전략 하나하나가 모두 개인의 실험이다.

'자신의 전략 알기'는 발견과 개선이 수없이 되풀이되는, 반복적이고 역동적인 과정이다.  

어떤 직업 분야에서 우수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단 하나의 최상의 방법을 더 이상 강요하지 않으면, 그 분야의 모든 종사자들이 다크호스가 되는 현상이 벌어진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