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에서 돌아가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Viewer가 제대로 된 게 없다.
그런데, 사실 3D BIM 데이터도 그렇게 많지도 않다고 한다.
또 대부분의 BIM 파일들은 AutoCAD나 Tekla 등 상용 Windows기반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작성된다.
이 바닥은 AutoCAD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다.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포맷은 오픈된 포맷을 좋아라하는 유럽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명맥이 이어져 온 것 같다. IFC 포맷으로 된 BIM을 보여주기 위한 툴은 상용/오픈소스 할 것 없이 많이 있지만, 희한하게도 웹에서 바로 Local IFC 파일을 열어 볼 수 있는 건 잘 없다. 있어도... 이 IFC 포맷이 워낙 방대하고 자유로운지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문법이 약간씩 차이가 난다. 그래서 파싱에러가 나는게 다반사다. 강력한, 대부분의 IFC 파일을 잘 읽어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은 Windows 기반 응용프로그램(예를 들어 BIMVision) 중에는 있다.
요즘은 AEC(Architecture, Engineering, Construction) 관련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Cloud를 만들고, 그 안에서 여러 전문가들이 IFC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하도록 하는 게 유행인가 보다.
암튼, 약 1달 반 가량을 투자하여, IFC Viewer를 개발했으나, 아직 버그가 있다. ㅠㅠ
여러명, 아니 단 1명이라도 파트너 프로그래머가 있어서, 서로 버그도 잡아주고 하면 좋을텐데, 그게 안되니 디버깅에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린다. 의욕도 저하되고.. 역시 프로그래밍은 Social Programming이 최고. GitHub 같은데 오픈하면 되지 않냐 하지만, 이게 회사의 기밀(?)이 걸려 있어서 그러긴 좀 어렵다. 하지만, 어짜피 내가 베이스로 하는 코드도 GitHub의 공개된 라이브러리인데, 나중엔 나도 코드 공개를 통해 오픈소스 커뮤니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한다.
Web-Worker, IndexedDB 등 별 방법을 다 동원하여 속도를 올리기 위해 노력했으나, 한계가 있다.
WASM(WebAssembly)을 도전해 봐야 겠다.
'일하기 >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택근무 할 때, 원격 데스크톱 접속 이용 팁 (0) | 2021.05.12 |
---|---|
첫 Blazor App 만들기 (1) | 2021.03.14 |
오픈 소스 네이티브 OpenBIM 저작 도구 및 WebGL IFC Viewers (0) | 2021.01.13 |
IFC와 Revit 좌표시스템 (1) | 2021.01.13 |
IFC WebGL Viewer (0) | 2021.01.13 |
댓글